본문 바로가기
건강

어깨 관절 (Glenohumeral Joint)의 해부학적 특징

by 양2양 2025. 4. 22.

오늘은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을 해부학적으로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을 해부학적으로 깊이 이해하는 것은 어깨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재활에 적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관절면의 구조적 특징과 어깨뼈의 움직임은 기능적 안정성과 운동 범위에 영향을 미칩니다.

어깨관절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의 해부학적 특징

견관절은 상완골(humerus)과 견갑골(scapula)의 관절면이 맞물려 구성되며, 인체에서 가장 가동범위가 넓은 관절입니다. 상완골두(Humeral Head)는 구 형태로 크고, 둥글며, 반지름은 2.5cm로 넓은 움직임을 제공합니다. 관절 와(Glenoid cavity)는 견갑골의 얕고 타원형의 오목한 구조로, 상완골두보다 작은 것이 특징입니다. 관절순(Glenoid Labrum)은 섬유연골 구조로 관절 와 가장자리를 감싸, 안정성을 보강하고 활막(synovial membrane)으로 관절액을 분비하여 마찰을 줄이고 영양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관절면의 부조화

상완골두는 관절와보다 약 3배 더 크기 때문에 구슬이 접시 위에 올려진 구조라고 비유되기도 합니다. 이 구조는 움직임은 자유롭게 하지만 불안정성에는 취약합니다. 때문에 이러한 관절면의 부조화를 보완해 주는 구조물이 필요하고 그러한 구조물이 어깨 안정성을 보완합니다. 첫 번째, 근육과 힘줄이 관절을 둘러싸 안정화를 지켜주는 회전근개가 있으며, 관절을 감싸는 결합조직인 관절낭(capsule)이 관절을 감싸 관절면을 보호합니다. 관절 와순은 마찰을 방지하고 뼈끼리 맞물리는 면적을 증가시켜 어깨의 안정성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의 견갑-상완 리듬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에는 견갑-상완 리듬이 존재하며, 이 리듬은 견갑골을 움직일 때마다 적절하게 움직여 줘야만 어꺠 관절의 움직임이 올바르게 나타나고 어깨관절 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견갑-상완 리듬은 팔을 180도 들어 올릴 때, 약 120도는 견관절에서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나머지 60도는 견갑골의 상방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견갑-상완리듬이라고 합니다. 즉, 견갑골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으면, 어깨 관절은 과부하를 받게 되며, 이는 어깨 충돌 증후군, 회전근개 손상 등과 같은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의 치료적 시사점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의 치료적 접근법은 먼저 어깨 안정화를 위한 치료 전략이 필요합니다. 회전근개 특히 긍상근, 극하근, 견갑하근의 강화 운동을 통해 어깨 안정화를 가져가고 견갑골 고정근육을 활성화시켜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거근이나 하부승모근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다음은 관절의 가동성 회복입니다. 어깨의 적절한 움직임을 위해 관절모빌라이제이션이나 어깨 전방활주 테크닉을 사용하여 관절의 가동성을 회복합니다.  마지막으로 견갑골 움직임 재교육입니다. 견갑골 움직임 재교육에는 올바른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해 wall slide, scapular clock 운동 등을 시행하고, 벽에서 밀거나 플랭크와 같은 closed-chain 운동 등을 시행하여 줍니다.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의 예방적 관리법

어깨 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의 올바른 위치를 유도하기 위해 바른자세를 유지합니다. 전방경사를 방지하고 , 어깨말림을 예방할 수 있는 동작이 필요합니다. 관절막과 근막 유연성 유지를 위해 스트레칭을 시행하여 주고, 견갑골 안정화와 회전근개 강화운동과 같은 다양한 운동과 올바른 움직임을 위해 필요한 근육들을 저항운동을 통하여 재교육시켜줍니다. 반복적으로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환자들에게는 반복적인 팔 들기나, 휘갑치기와 같은 어깨 관절에 부하를 주는 동작을 줄여주는 작업환경을 조절하여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