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물리치료 기법 MWM기법에 대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알아보기

by 양2양 2025. 4. 21.

오늘은 물리치료 기법 중 하나인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MWM은 뉴질랜드 유명 물리치료사 Brian Mulligan에 대해 고안된 치료 기법으로 수동적 관절 가동(mobilization)과 능동적 움직임(movement)을 동시에 결합한 치료입니다. 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MWM 기법의 핵심 특징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의 특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움직임 중에 통증 없이 관절이 움직이도록 도오주며, 신경계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주는 통증완화를 시켜줍니다. 또한 관절 재정렬을 통해 미세하게 잘못 정렬된 관절을 정상 위치로 유도해 줄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기법 사용을 통해 가동범위 증가 및 움직임 패턴 개선을 시켜줌으로써 기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어깨, 무릎 발목, 척추 등 다양한 관절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능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어 환자의 협조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 기법의 종류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슬라이드 치료입니다. 치료사가 관절에 수평 혹은 수직 방향으로 가벼운 압력을 가하고 환자는 해당 관절을 능동적으로 움직입니다. 예시로는 발목 앞전방 활주시에 발끝을 드는 동작을 시행합니다. 다음은 벨트보조입니다. 치료사가 손보다는 밴드를 이용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관절 가동을 유도합니다. 주로 고관절, 무릎 발목에 활용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중치 보조가 있습니다. 발목이나 무릎 관절에 체중을 싫어주며 안정화시켜 줍니다. 특히 관절 불안정성이나 제한된 가동범위를 회복할 때 효과적입니다.

발목 MWM의 기법의 활용 분야

발목은 MWM기법이 특히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부위 중 하나입니다. 발목 MWM 기법의 예시로는 먼저 전방활주가 있습니다. 밞목 염좌 이후 발등 굽힘제한이 있는 환자에게 실행되며 환자는 런지 자세를 취하고, 치료사는 경골과 거골 사이에 전방 활주력을 가합니다. 발목 굴곡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다음은 내측활주입니다. 거글이 외측으로 치우진 경우 내측에서 외측으로 힘을 가하여 관절 정렬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마지막으로 거골 뒤쪽 활주와 무릎 굴곡 MWM 은 종합적인 발목 유연성 부족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MWM 적용 시 주의사항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의 절대적인 원칙은 통증 없는 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입니다. 통증 유발 금지가 포인트입니다. 반복 적용에는 6~10회 반복 시 가장 효과적인 치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 적용 시에는 단순 가동범위보다는 환자의 기능적 움직임 개선 여부에 집중해 기능 중심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로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다른 기법과 병행 하는 것입니다. 근육 이완술이나, 신경가동술과 함께 효과시 효과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기법을 배우는 걸 추천드립니다.

MWM 재활 및 가정 운동확장과 결론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 은임상 환경 외에도 홈 트레이닝에도 효과적으로 도입될 수있습니다. 밴드와 벽 또는 계단을 활용하여 자가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 운동을 실시하면 환자의 회복 속도 및 참여도가 향상됩니다. WALL ANKLE MWM 은 벽 앞에서 런지 자세로 무릎에 벽을 가까이 가져가며 반복합니다. 결론은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 관절 기능 회복과 통증 감소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물리치료 기법입니다. 특히 발목의 재활 과정에서  MWM(Mobilization with Movement) 을 활용하면 보다 빠른 회복과 움직임의 효율성 개선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변형 기법과 도구를 활용해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 스스로도 자가 운동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물리치료사와 환자 모두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