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 작용, 손상기전, 관련질환까지 100%정복하기!

by 양2양 2025. 4. 11.

이번 글에서는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의 해부학적 구조부터, 손상 시 증상, 재활 및 예방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은 상대적으로 주목받는 근육은 아니지만 고관절 주변 근육에서도 깊은 근육으로 우리 몸의 움직임과 자세를 안정화시키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대퇴방형근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의 기본 해부학 정보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의 해부학적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은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에 기시하여서 대퇴골의 대전자 하부(intertrochanteric crest)에 정지하는 근육입니다.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의 작용으로 극 고관절 안정화 및 고관절을 안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천골 신경총(L5~S1) 애 지배를 받아 주로 하둔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엉덩이 뒤쪽 깊숙이 위치하여 둔근 아래 깊숙이 존재합니다.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 손상기전과 관련 질환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의 주요 손상기전으로는 과도한 외회전 동작 반복입니다 .특히 운동선수나 무용가, 유도/레슬링 선수 등에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다음으로는 고관절 압박 및 협착입니다. 오래 앉아있는 자세나 고관절 충돌 증후군 등에서 2차적 압박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좌골 신경과의 관계입니다. 이 근육은 좌골신경과 매우 가까워 좌골신경통 유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손상 기전은 대퇴방형근이 과긴장 및 염증으로 좌골신경을 압박하여 엉덩이 통증 및 하지망사통을 유발하는 대퇴방형근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고, 보행이나 운동 중 고관절 깊은 부위의 마찰로 인해 통증을 유발하는 고관절 외회전근 충돌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재활 방법 및 운동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의 재활초기는 스트레칭 및 폼롤러로 주변 근육의 긴장 완화를 위해 안정 및 근막이완을 실시하고, 핫팩 전기치료로 혈류 개선 및 통증을 감소시켜 줍니다. 요가 자세로 엉덩이 근육과 대퇴방형근을 길게 늘이는 비둘기자세 스트레칭이나, 누워서 무릎을 교차 스트레칭 하여 고관절을 움직여줍니다. 옆으로 누워 무릎을 벌리며 엉덩이 근육과 외회전근군 강화를 위하여 고관절 외회전 클램셀 운동과 같은 둔근 운동을 진행하여, 재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 강화 운동을 실행하여 줍니다.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으로는 고관절의 극단적인 외회전을 반복하는 무용가나 발레리나가 대표적입니다. 그 외에도 킥 동작시 외회전의 가동범위가 많이 필요한 축구선수도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의 손상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관절 안정성과 외회전이 필요로 하는 유도, 레슬링 선수나 장시간 앉은 자세로 압박 및 근긴장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트럭이나 택시 운전사 분들도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위험에 노출되지 않기 위해 적절한 움직임 정도와 강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의 예방 및 자가관리 방법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10분 정도 비둘기 자세나, 햄스트링 이완 같은 고관절 스트레칭을 진행하고, 폼롤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둔부 및 햄스트링 근막을 이완하여 하루 1번 엉덩이 스트레칭을 진행하여 줍니다. 엉덩이 깊숙한 곳의 묵직한 통증이나, 앉았다 일어날 때, 또는 한쪽 엉덩이의 압통이 느껴질 때, 마지막으로 고관절 가동 시 방사통이 허벅지 뒤쪽으로 퍼질 때와 같은 통증 양상은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이 손상되었다는 통증 주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