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TFCC(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원인과 재활 및 예방까지 1STEP 바로알기!

by 양2양 2025. 3. 10.

오늘은 TFCC(삼각섬유연골복합체) 부상이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원인들과 그에 필요한 재활 운동 및 손상을 막기 위한 예방 방법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하지 않은 이름이라 생소할 수 있겠지만 현대인들의 많은 분들이 앓고 있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손목의 새끼손가락 쪽 관절면이 움직일 때마다 아프다면 이 질환을 의심해 보세요.

TFCC의 구조 및 역할

손목 관절은 노뼈와 자뼈 그리고 손목뼈가 만나면서 이루어집니다. 이때 손목의 바깥쪽 뼈(자뼈)와 손목뼈들 사이의 삼각형 구조들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말 그대로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섬유조직 들와 연골들의 복합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8개의 작은 뼈와 신경, 관절, 인대 및 근육 등이 복잡한 구조로 얽혀있는 손목과 손의 구심점 역할 및 손목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움직임 컨트롤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손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에 손목의 움직임에서 TFCC라는 구조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TFCC (삼각섬유연골복합체)의 손상원인

크게 외상성 손상과 퇴행성 손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상성 손상 : 뻗은 손으로 넘어지거나 (FOOSH 부상) , 갑작스러운 비틀림 동작 같은 충격에서 올 수 있습니다.

퇴행성 손상 : 현대인들 생활에 없어선 안될 아이패드 사용 및 작은 키보드 사용, 수험생들이나 학생들의 장기간 필기도구 사용과 같은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손목의 통증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물건을 잡아서 옮기는 반복적인 행동이나, 손목에 체중을 싣는 동작 또는 회전동작(예 : 테니스, 체조)과 같은 행동도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자뼈가 노뼈에 비해 더 긴 경우 마모가 더 빠르게 진행되어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TFCC (삼각섬유연골복합체)의 증상

여러 가지 손목 관련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나 심한 경우에는 신경압박도 지속될 수 있으니 본인이 해당하는 증상을 한 번 체크해 보시길 바랍니다.

  1.  TFCC는 손목의 디스크라고도 불리는 공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있을 시에는 손목을 움직일 때마다 딸각 소리와 함께 시림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2. 새끼손가락 쪽의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3. 손목을 비틀거나 돌릴 때, 특히 병을 따거나 열쇠를 돌리는 동작들에서 통증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4. 손목 주위의 붓기와 압통이 느껴질 수 있으며 힘을 줄 때 갑자기 악력저하로 인한 힘 빠짐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과반수 이상 해당된다면 TFCC 질환을 의심해 보시고 가까운 병원에서 진단받으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TFCC (삼각섬유연골복합체) 부상치료방법

치료는 부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심한 파열은 수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추후 손목 관절염과 같은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치료가 중요합니다.

수술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통증이 시작되었을 때 빠르게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신이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인지하고 적절한 재활을 거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휴식 및 보호 
    장시간 손목을 새끼손가락 쪽으로 꺾는 활동을 피해 줍니다. 손목을 쥐거나 비틀거나 체중을 지탱하는 동작을 줄여보시고 평소보다 손목 움직임량을 줄여줍니다. 
    보조기 또는 부목 착용 : 손목 부목이나 보조기는 관절을 안정시키고 추가 자극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얼음 요법 : 염증을 줄이기 위해 2~3시간마다 15~20분 동안 얼음찜질을 합니다.
  • 물리치료 및 재활
    주사와 휴식과 더불어 도수치료 및 관련 운동 재활을 진행한다면 더 효과적으로 TFCC 질환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1) 초기회복(2~4주)
    초기에는 회복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움직임이 일어나는 근육운동은 추천하지 않으며 움직임 없이 근육의 수축만을 이용한 등척성 운동을 추천합니다. 이 때도 통증이 있다면 운동은 과감히 병행하지 않고, 휴식에 더 많은 초점을 가져갑니다.
    손목 등척성 운동 :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테이블 위에 손을 얹습니다. 그다음 손목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물치에 손을 대고 누릅니다.
    내전 및 외전(손목 회전) : 가벼운 물체(EX, 망치 또는 작은 덤벨)를 잡습니다.
    손목을 손바닥 위에서 손바닥 아래로 천천히 돌립니다 누가 내 손목에 축을 꽂아두었다고 생각하고 축을 중심으로 손목을 회전하는 움직임에 집중해 보세요.
    이때, 팔꿈치나 어깨에서 보상작용이 과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팔꿈치는 옆구리에 붙이던지, 수건을 옆구리에 껴서 진행합니다.
    2) 강화(4~8주)
    가벼운 아령이나 밴드를 사용하여 무게를 이용한 근력운동을 진행합니다.
    ①손목 굴곡 및 저항운동
    저항 밴드 또는 덤벨을 사용하여 손목을 천천히 구부렸다가 폅니다. 가등하시다면 손가락 끝마디까지 폈다가 구부려주면서 저항을 늘려줍니다. (10회 /3 SET)
    ②자뼈 쪽 움직임 강화 
    손바닥이 안쪽을 향하도록 가벼운 무게를 손에 잡습니다. 손목을 새끼손가락 쪽으로 움직입니다. 
    이때, 옆으로 움직이는 수평적인 움직임만 순수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해주세요. 대각선으로 일어나는 움직임은 최대한 피해 주시고 자극이 심하거나 통증이 있을 때는 운동을 반드시 멈춰줍니다. (10회 /3 SET)
    ③악력강화
    부드러운 공이나 치료용 퍼티를 꽉 쥐고 펴기를 5초간 유지하고 10~15회 반복합니다.
    전체적인 근력강화에 효과적이며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갈 때 사용하기 좋은 운동입니다.
    3) 고급강화(손목 체중 부하 운동 : 8주 이상)
    일상생활 복귀전 점진적인 손목 부하량을 늘려줍니다.
    부드러운 표면에서 점진적으로 손목에 체중을 지탱하는 방법과 같이 부하량을 늘려보거나, 불안정한 워블보드 위에서 디스크에 적절한 자극을 줘 순간적인 상황에서도 디스크가 보호될 수 있는 움직임을 만들어 나갑니다.

TFCC (삼각섬유연골복합체) 부상예방

  1. 손목 및 팔근육 강화
    손목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하여 근력과 지구력을 유지하세요. 늘어나는 힘을 쓸 때(원심성 수축) 근육의 긴장감을 느끼며 근육이 활성화되는 것을 느껴줍니다.
  2. 일상생활 속 습관 교정
    손목을 과도하게 비틀거나 충격이 큰 활동을 피해 보세요.
  3. 유연성 향상
    여기서 물리치료사의 꿀팁 들어갑니다. 
    TFCC가 형성되고 있는 부분에 지나가는 근육들을 스트레칭해 주는 것만으로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손목 전체적으로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육을 타겟팅화하여 스트레칭을 하면 더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는데요. 바로 그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인 ECU(Extensor carpiulnaris)자쪽손목폄근과, ED(Extensor digitorum), 손가락 폄근입니다. 이러한 근육들의 단축은 TFCC의 압박력을 높여 염증 및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타깃 화하여 스트레칭 시 질환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적절한 손목 보호대 사용
    테니스와 역도와 같은 스포츠를 하는 경우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손목에 테이프를 붙여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운동을 시작해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가볍게 압통이나 통증이 있는지 진단해 보시고 꼭 정확한 진단은 병원에서 받고 올바른 처치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나 스트레칭 방법, 테이핑 방법 등이 궁금하신 분들은 댓글 남겨주시면 제가 최대한 알기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