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 원인, 증상, 치료방법까지 1step 바로알

by 양2양 2025. 4. 6.

이번 글에서는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 힘줄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은 상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팔의 굽힘(flexion)과 회전(supination)에 관여하는 근육입니다. 하지만 반복적인 사용과 부하로 인해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 힘줄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팔두갈래근(이두근)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 힘줄염의 부착 부위 및 움직임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은 크게 장두(long head)와 단두(short head)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다른 부위에서 시작하여 아래쪽에서 하나의 힘줄로 합쳐집니다. 장두의 기시는 견갑골 관절상 결절(supraglenoid tuberclod of scapular)이고, 정지는 노뼈 조면(radial tuberosity)입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팔꿈치 굽힘과, 전완의 supination입니다. 단두(short head)의 기시는 견갑골 오구돌기(coracoid process of scapula)이고 정지는 노뼈 조면(radial tuberosity)입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팔꿈치 굽힘과 어깨 굽힘에도 관여합니다.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은 주로 장두의 힘줄에서 발생하며 반복적인 마찰과 스트레스로 인해 염증이 생깁니다.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의 원인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은 주로 과사용과 부하로 인해 발생합니다.

야구, 테니스와 같은 스포츠에서 팔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반복적인 어깨 사용이나, 삼각근 회전근개 등이 약하면 이두근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근력 불균형이 나타나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흔한 원인으로는 바벨 컬같은 운동을 잘못된 자세로 수행할 경우 힘줄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으며, 어깨의 정렬이 무너지면서 이두근 힘줄이 마찰되거나 끼이게 되는 어깨의 불안정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나이가 들면서 힘줄이 약해지고 염증이 쉽게 발생하는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 힘줄염의 증상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 힘줄염이 발생하면 어깨 앞쪽이나 위쪽에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팔을 위로 들거나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화되고 아침에 뻣뻣함과 통증이 증가합니다. 또한 팔꿈치를 굽히거나 물건을 들 때 힘이 부족한 느낌이 들고 반복적인 사용 후 팔이 쉽게 피로해지는 근력저하가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어깨를 움직일 때 '딸깍'소리가 들릴 수도 있으며, 힘줄이 올바르게 위치하지 못하고 움직임이 자꾸 흐려져 이두근에서의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상완 앞쪽에서의 특히 이두근 고랑 부위를 누르면 압통이 있어 통증의 위치와 양상이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 증상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 힘줄염의 치료 방법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의 치료는 초기 치료에는 초기 염증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통증이 있는 팔의 사용을 최소하하고, 얼음찜질을 자주 그리고 짧은 시간 해줍니다. 탄력붕대를 사용하여 부종을 감소시켜 주고, 소염진통제를 복용하여 진통과 염증을 조절하여 줍니다. 재활 훈련을 들어갈 때는 벽을 이용한 가벼운 어깨 스트레칭을 시켜주고, 폼롤러를 활용한 근막 이완 운동을 통해 충분한 스트레칭을 해 줍니다. 또한 가벼운 덤벨을 이용해 이두근 강화운동을 시행하고, 점차 근육량 증가를 위해 무게를 늘려줍니다. 어깨의 안정화를 위해 외회전 운동과 내회전운동도 동시에 진행하여 줍니다.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 예방 방법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의 예방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을 올바른 운동 방법입니다. 팔꿈치를 적절한 각도로 유지하면서 운동을 수행하고 지나치게 무거운 무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로우 운동을 통해 등과 어깨 근육을 강화하고, 밴드를 활용한 회전근개 안정화 운동을 진행하여 어깨 및 회전근개를 강화시켜 줍니다. 데스크나 앉아서 일을 할 때 등을 곧게 펴고 어깨를 긴장시키지 않도록 유의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팔꿈치를 너무 굽히지 않고 사용하도록 올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줍니다.  마지막으로 운동 전 가벼운 다이내믹 스트레칭을 수행하고, 운동 후에는 정적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해소시켜 줘서 위팔 두 갈래 근(이두근) 힘줄염을 예방시켜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