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방카르트 병변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뿐만 아니라 적절한 치료와 재활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방카르트 병변은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순이 손상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병변은 주로 어깨 전방탈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반복적인 탈구가 있는 경우 어깨의 불안정성을 유발합니다.
방카르트 병변의 원인
방카르트 병변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어깨가 앞쪽으로 빠지면서 관절순이 찢어지는 어깨 전방 탈구가 왔을 때의 방카르트 병변이 가장 많이 올 수 있습니다. 그다음으로는 야구 투수, 수영 선수, 배드민턴 선수 등 어깨를 자주 사용하는 스포츠 활동에서의 반복적인 과사용도 방카르트 병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넘어지거나 어깨에 강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와 같은 외부충격이나, 선천적으로 관적이 느슨하여 탈구를 경험한 환자군은 탈구 위험이 증가하여 방카르트 병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20대 젊은 층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넘어지는 사고나 갑작스러운 어깨 움직임으로 인해 발병할 수 있습니다.
방카르트 병변의 손상종류
방카르트 병변의 손상 종류는 다양하나 대표적으로 가지만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소프트 방카르트 병변입니다. 전하방 관절순이 골에서 분리되지만, 뼈의 손상 없이 연부 조직만이 영향을 받는 상태입니다. 주로 전방 어깨 탈구 후에 발생하며, 어깨의 불안정성을 초래합니다. 다음은 역방카르트 병변입니다. 후하방 관절순이 손상되는 상태로, 주로 후방 어깨탈구와 관련이 있습니다. 후방 불안정성을 유발하며, 어깨의 특정 움직임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음은 ALPSA 병변입니다. 전하방 관절순이 골막과 함께 전방으로 말려들어가며, 관절순이 변위 되는 상태입니다. 어깨의 전방 불안정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관절순의 변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카르트 병변의 증상
방카르트 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어깨가 불안정해지고, 특정 동작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먼저 어깨가 쉽게 빠지는 느낌이 드는 듯한 불안정성이 증가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특정 동작, 특히 팔을 위로 올릴 때 어깨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어깨를 움직일 때 움직임이 걸리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팔을 들거나 돌릴 때 힘이 약해져 힘을 주고 체중을 지지하거나 움직이는 듯한 동작에서 어려움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면 지속적인 탈구가 발생하면서 계속된 아탈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포츠 활동 중 팔을 들어 올릴 때 어깨 앞쪽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 방법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는 손상 정도와 환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결정됩니다.
먼저 비수술적 치료로는 보존적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깨 불안정성이 심하지 않거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경우 적용됩니다. 휴식 및 얼음찜질을 통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시켜 주고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여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합니다. 다음으로는 회전근개 및 어깨 주면 근육 강화운동과 고유수용성 감각 훈련을 통해 점진적인 회복을 실시합니다. 염증이 심할 수 있기 때문에 소염진통제를 사용하여 약물치료를 사용합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반복적인 탈구가 발생하거나 어깨 불안정성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방카르트 봉합술을 시행하여 찢어진 관절순을 봉합하여 원래 위치료 복원시키거나, 관절순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뼈를 이식하여 안정성을 높여주는 뼈 이식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후에는 반드시 재활 치료를 통해 기능을 회복해야 합니다.
방카르트 병변 재활 프로그램
수술후 재활은 크게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 1단계에는 보호기 및 가동성 회복을 목표로 합니다.(~4주 차), 길면 4주까지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고 가벼운 수동운동을 시작합니다. 통증완화를 위한 아이스팩 및 물리치료를 병행합니다. 2단계에는 가벼운 탄력밴드 운동으로 회전근개를 강화시키고 고정된 상태에서 힘을 주는 등척성 운동을 시행합니다. 동시에 다양한 감각 훈련을 통해 고유수용성 감각을 끌어올립니다. 3단계에는 기능적 능력을 키우기 위해 중량운동을 시작하고, 스포츠 복귀를 위한 다양한 운동을 통해 어깨 컨디셔닝을 진행합니다. 4단계에는 스포츠 복귀 및 강화훈련을 위해,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 및 상체 코어 안정화 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을 진행하여 줍니다. 재활 운동을 소홀히 하면 재발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반드시 단계별 운동을 수행해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카르트(Bankart) 병변의 수술 방법과 손상종류 총정리! 어깨 불안정성의 이해 (1) | 2025.04.07 |
---|---|
위팔두갈래근(이두근)힘줄염 원인, 증상, 치료방법까지 1step 바로알 (0) | 2025.04.06 |
박리성 골연골염(OCD) 원인, 증상 치료법까지 완벽 1STEP (0) | 2025.04.04 |
굽은등(Hyperkyphosis)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까지 100% 알고가기!! (1) | 2025.04.03 |
부주상골 증후군(Accessory Navicular Syndrome)원인,증상, 재활 총정리!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