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라 불리는 팔꿈치 손상 중 하나인 질환의 원인 및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상뿐만 아니라 치료 방법 및 재활, 예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토미존 엘보는 팔꿈치 내측 측부인대( Ulnar Collateral Ligament)가 손상된 상태로 , 주로 야구선수에게 발생하는 부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란?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란 팔꿈치 내측 측부인대(UCL)가 손상되거나 파열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팔을 강하게 사용하여 던지는 스포츠, 특히 야구, 테니스, 창던지기에서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내측 측부인대가 손상되면서 인대가 손상되면 통증, 팔꿈치 불안정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심한 경우에는 수술 팔꿈치 내측 측부인대 재건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토미 존 엘보의 이름은 1974년 처음 이 수술을 받은 메이저리그 투수 '토미 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의 원인과 위험요인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의 원인은 공을 던질 때 UCL이 반복적으로 늘어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반복적인 팔꿈치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야구선수에게는 투구 수가 많거나 충분한 회복 없이 던졌을 때 인대 손상이 가속화될 수 있으며, 팔꿈치가 과도하게 외전 되거나 손목 스냅이 부족한 등 잘못된 투구 메커니즘 또한 토미 존 엘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뼈와 인대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과사용하는 성장기 선수의 무리한 투구도 무리를 줄 수 있으며, 팔꿈치와 어깨 근육이 약하면 내측 인대에 부담이 증가해 토미존 엘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을 살펴보면 야구선수 중에서도 투수의 포지션이나 창던지기 선수처럼 반복적인 팔 동작을 하는 운동선수에게 많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의 중상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의 증상으로는 가장 대표적으로 팔꿈치 내측, 즉 안쪽에 통증이 가장 심한 것이 특징입니다. 공을 던질 때 날카롭게 찌르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며, 신경감각도 자극을 받아 손가락 감각 저하가 일어나거나 손에 힘이 빠지는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공을 던질 때마다 인대가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팔꿈치 불안정성을 호소할 수 있으며, 공을 던질 때 흔들리는 느낌 때문에 구속이 줄어들거나 제구의 어려움을 겪는 것과 같은 선수로써의 여러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경미한 통증이지만, 점차 심해지면서 인대 파열이 진행될 경우 팔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증상을 빠르게 파악하고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토미존 엘보(Tommy John Elbow)의 치료 방법
토미 존 엘보의 치료 방법에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 손상이거나 손상 정도가 경미한 경우 비수술적 치료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투구 중단 및 팔꿈치 사용을 최소화하고, 염증 감소를 위해 얼음찜질을 필수로 진행하여 줍니다. 통증 및 염증 완화를 위해 소염제를 복영하여 주고, 인대 보호 및 안정성 유지를 위해 팔꿈치 보호대를 착용하여 줍니다. 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초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 인대가 완전 파열된 경우에는 토미 존 수술 (UCL 재건술)이 필요합니다. 손상된 UCL을 팔뚝 또는 허벅지에서 가져온 힘줄 또는 기증받은 타가건으로 대체하여 수술하는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 예방 방법
토미 존 엘보(Tommy John Elbow)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깨와 허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부드러운 투구 동작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팔꿈치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도록 조절하여 올바른 투구 폼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청소년 선수는 1주일 최대 100개를 넘지 않는 투구 수를 조절하면서 투구를 하는 것을 권장하며, 경기 후 최소 3일은 휴식을 권장하고 연속 3일 이상 투구를 하여 팔꿈치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합니다. 청소년기에 과도한 변화구 및 많은 투구 수는 토미 존 엘보의 위험에 노출이 가장 크기 때문에 주의해 줍니다. 세라밴드를 통한 회전 근 게 운동, 플랭크 등 팔꿈치 안정화 운동, 손목 굽힘 폄 운동을 통한 전완근 스트레칭으로 어깨와 팔꿈치 근력을 강화해 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굽은등(Hyperkyphosis)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까지 100% 알고가기!! (1) | 2025.04.03 |
---|---|
부주상골 증후군(Accessory Navicular Syndrome)원인,증상, 재활 총정리! (0) | 2025.04.01 |
이상근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의 원인, 증상 예방법까지 1step정리! (0) | 2025.03.30 |
무지외반증 원인 증상, 재활 및 예방 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알고 가기! (0) | 2025.03.29 |
슬개골건염(힘줄염) 원인 증상, 재활, 예방법까지 100% 알고가기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