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상근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의 원인, 증상 예방법까지 1step정리!

by 양2양 2025. 3. 30.

오늘은 이상근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 이상근 증후군의 치료 및 재활운동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근은 엉덩이 깊숙이 위치한 작은 근육이지만, 좌골신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기능이 저하되면 좌골신경통과 유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상근증후군

이상근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이란?

이상근증후군은 엉덩이 깊숙한 곳에 위치한 이상근이 긴장하거나 짧아지면서 근육 안에 관련되어 있는 좌골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증후군입니다. 이상근증후군은 좌골 신경통과 유사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허리디스크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감별 진단이 꼭 필요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 앉아있거나 오래 걷기, 뛰기 등이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엉덩이에서 허벅지 뒤쪽, 종아리까지 통증이 방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이 지속되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을 하여 질환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상근증후군의 주요 원인

이상근의 주요 원인으로는 오래 앉아있는 습관, 장시간 운전,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이상근이 과사용 되거나, 이상근이 짧아지면서 좌골신경을 직접 눌러 염증과 통증을 발생시키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력 불균형으로 둔근이 약해지면서 이상근이 보상적으로 과사용되면서 좌골신경을 압박시킬 수 있으며, 엉덩이 부위의 직접적인 충격이나 넘어짐으로 인해 이상근이 경직되는 외상 및 손상 또한 이상증후군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이상근과 주변 근육이 경직되어 신경을 압박할 가능성이 높아져 근육의 유연성 부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허리 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하지만, 허리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하지만, 허리디스크와 달리 허리를 숙이거나 젖힐 때는 통증이 심하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상근증후군의 증상&특징

이상근증후군의 증상으로는 엉덩이 깊숙한 곳에서 시작되는 둔한 통증이 특징적입니다. 또한 허벅지 뒤쪽, 종아리 심하면 발까지 방사통을 호소하며 앉아있거나 오래 걸으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다리를 꼬거나 계단을 오를 때 통증이 증가하며 누워서 무릎을 굽히고 바깥쪽으로 돌리는 4자 모양의 다리를 했을 때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좌골신경통과 유사한 통증이 있다면 이상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위의 증상 중에서 과반수에 해당되는 증상이 자신의 몸에게 해당된다면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상근 증후군과 허리 디스크의 감별법

이상근 증후군과 허리디스크는 증상에 있어서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진단을 시행하거나 차이점을 알지 못하면 오진으로 인한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습니다. 먼저 이상증후군의 통증 위치는 엉덩이나, 허벅지 뒤쪽 종아리 쪽으로 방사통을 호소하나, 허리 디스크는 신경분절에 따라 방사통의 위치가 다를 뿐만 아니라 허리나 천장관절면으로도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허리 움직임시에는 허리 디스크는 통증이 증가할 수 있으나 이상근 증후군은 허리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움직임 시에도 통증이 없습니다. 이상근, 허리 디스크 모두 앉아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나 허리디스크는 누워있을 때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상근증후군은 허리디스크와 감별이 필요하며 물리치료나 적절한 운동으로 개선이 가능합니다.

이상근증후군 재활 및 치료 방법

이상근증후군의 치료는 스트레칭, 근력 강화, 자세 교정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먼저 바닥에 누워서 한쪽 다리를 반대쪽 무릎 위에 올려 '4자 모양'을 만들어 이상근 스트레칭을 진행해 줍니다. 적절한 스트레칭은 통증 완화 및 근육의 유연성 증가에 도움을 주어 이상근증후군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과하게 이상근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둔근 강화운동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옆으로 누워 무릎을 굽힌 후 다리를 천천히 벌렸다가 닫는 클램쉘 운동이나, 바닥에 누워 무릎을 구부리고 엉덩이를 들어 올리는 브리지 운동 등을 시행하여 재발을 방지해 줍니다. 둔근을 강화하면 이상근 부담이 줄어들고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상근증후군 예방 방법

이상근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오래 앉아있을 때는 허리를 곧게 펴고 앉고, 다리 꼬기 습관을 줄이고, 장시간 운전 시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하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 줍니다. 또한 스트레칭을 통해 이상근 유연성을 높이고 둔근(엉덩이 근육)을 강화시켜 근육이 올바르게 쓰일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하체 근력 운동을 병행하여 체중을 균형 있게 양다리에서 분배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무리한 러닝이나 점프 동작은 이상근에 과부하를 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동 전 후에는 충분한 스트레칭을 필수로 시행하여 주시고 급격한 운동은 피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